2007 제36회 전국소년체전 결과보고-3

  □ 종목별 경기결과 분석

기록종목 : 육상,수영의 전력상승과 다관왕종목 부재

      ○ 전국체전 상위입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기본종목에서

         육상 8, 수영 3개로 전년보다 비약적인 전력상승을 가져

         왔으나 다관왕종목인 역도,체조,사격,양궁,롤러에서 부진으로

         인하여 전체적인 전력하락의 주요인으로 작용

단체종목 : 전반적 전력상승

     ○ 단체종목은 13종목 44팀이 출전하여 배구 남성중 외 5개팀이

        결승에 진출하였으나 뒷심 부족으로 금메달 1개에 그쳤으나

        단체종목은 전반적인 전력상승과 점진적인 도약을 했다고

        사료됨

체급종목 : 본도 강세종목의 부진

     ○ 본도 강세종목인 체급종목에서 4개(태권도2,씨름1,유도1)의

       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나 복싱, 레슬링의 몰락과 우수선수의

        부재로 금메달 획득에는 역부족 이었다고 사료됨

  □ 향후 대비대책

     ○ 다관왕 종목(육상,수영,사이클,역도,양궁,체조,롤러)의 우수선수

        조기 발굴육성 및 집중투자 선행

     ○ 소년체전 상위입상 지도자에 대한 인센티브제도 확대 실시

     ○ 대단위 학교에 육성종목을 지정하여 운영 내실화 도모

        - 꿈나무 육성의 당위성에 입각한 선수 육성환경을 전면 보완

        - 전략종목 선정 특성화 지원육성 (사격,양궁,역도,체조,롤러 등)

        - 지역 교육청별 육성종목 세부운영계획 수립 시행

        - 종목별 지역특성화를 고려한 연계육성 체제 확립

     ○ 체급종목 육성에 대한 특단의 조치 필요

        - 선수 저변확대를 위한 방안 마련

        - 지도자 역량강화 및 선수 육성 대비대책 수립

     ○ 불출전종목 팀창단 육성 시급

        - 역도(여중),다이빙(전종),리듬체조(전종),카누(여중)

     ○ 강력한 지원체제 확립

        - 유관기관의 예산확보와 지원을 통한 적극적인 육성의지 필요

        - 지역 교육장 및 학교장의 적극적인 관심유도책 마련

        - 각종 단체와 기관간 자매결연 추진으로 훈련선수 지원 독려

        - 체육회의 훈련비 지원 확대

     ○ 체육회, 경기단체, 교육청의 유대강화로 체육정책 강구

경  기  결  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