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제34회 전국소년체전 부진원인 분석
◇ 경기결과 분석
○ 초*중학교 육성팀 및 선수 부족으로 우수선수(팀) 부재 ※ 불출전 종목 : 수영(다이빙),축구(여초부),사이클(여중부)사격(여중부 공기소총),체조(남중부),리듬체조,카누(전종별) ○ 기본종목(육상, 수영, 체조) 선수 부족으로 인한 경기력 저하 ○ 본도 강세종목인 체급종목(복싱, 레슬링, 씨름, 유도) 및 다메달 종목(역도, 롤러)의 우수선수 부족으로 금메달 부재 ○ 본도 주력종목의 부재
◇ 종목별 경기결과 분석
○ 기록종목 (개인종목 포함) - 체전 상위입상의 결정적인 작용을 하는 종목으로 전북은 육상 1개, 수영 2개, 양궁 2개, 역도 2개, 체조 3개, 조정 1개 등 합계 10개의 메달 획득으로 전년도 메달 수에 비해 3개를 더 획득하였으나 육성종목 지정 집중적인 지원 필요
○ 단체종목 - 13개 종목 43개 세부종목에 출전하여 축구 여중부 삼례여중 등 5개 종목 5개팀이 결승에 진출하여 축구 삼례여중, 배구 남원중앙초등, 핸드볼 정일여자중이 금메달을 목에 걸었지만 거의 전 종별인 35개 팀이 1-2회전에서 탈락하여 이에 대한 선수 수급 및 중장기적인 훈련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함.
○ 체급종목 - 5개 체급 종목 중 태권도 2, 유도 1, 씨름 1개로 금메달 4개 (작년 4개)를 획득하였으나,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였던 복싱레슬링, 씨름, 유도 등에서 많은 메달 획득에 실패하여 종합 성적이 부진한 요인이 됨.
◇ 성적 부진 원인
○ 기본 종목과 다메달 종목 및 체급종목에 대한 체계적인 육성 방안이 미약하고, 학교체육의 뿌리인 초등학교 체육에 대한 관심과 열의가 매우 부족한 실정임. ○ 지도자 보수에 대한 보장 미약으로 선수 육성에 대한 의욕 및 동기 부족으로 선수 발굴 및 훈련을 소홀히 하여 우수 선수가 매우 부족함. ○ 체전 총괄부서인 교육청과 경기단체, 체육회와의 연계체제 부족 으로 운동부 육성이 힘든 실정임. ○ 체육교사 인사권이 주관 부서에 없어서 육성종목에 맞는 적임 지도교사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없고 체육팀의 행정력이 일선 학교와 지도 교사에게 제대로 발휘되지 못함. ○ 교육청의 육성종목비 및 훈련비 일률적 지원으로 인센티브제가 없어 지역 교육청과 학교의 팀 육성에 대한 관심과 의욕이 매우 부족하여 운영이 비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음.
향 후 대 비 전 략
◇ 경쟁체제 확보를 위한 지도자 운영시스템 개선 및 감독교사 인센티브 확대 ○ 체육 순회코치 운영 방안 개선(급여수준 향상, 성적거양 지도자에 대한 특기교사 채용 등) ○ 지도교사 사기진작 방안 마련 ○ 메달 획득 지도자(코치, 지도교사) 연수 실시
◇ 도 대표 조기선발 관리 철저 및 훈련비 적기 지원 ○ 1차 선발대회 조기실시 (체전 전년도 11월중) ○ 11월부터 도 대표선수 강화훈련 및 훈련비 지원 ○ 입상 가능한 선수 종목별 집중 지원 및 관리
◇ 체육회, 경기단체, 교육청과 긴밀한 협조체제 유지 ○ 도 대표선수 훈련을 경기단체 주관하에 실시 → 경기단체의 역할 및 책임 강화 ○ 소년체전 선발전 체육회 주관 및 훈련비 지원 ○ 도 교육청 선발전 및 선수 훈련에 따른 예산 지원 ○ 체육회와 경기단체 및 교육청이 합동으로 학교체육발전협의회 (가칭) 구성 운영
◇ 육성종목 운영의 내실화 ○ 육성종목 지원금의 차등 지원 : 지역교육청의 역할 및 책임 강화 ○ 지역 교육청별 육성종목 운영계획 수립 시행 ○ 우리도의 전략종목 선정 집중 지원 육성(체조, 양궁, 역도 등)
◇ 체육교사 인사 체육보건교육과 협의 ○ 체육교사 인사시 중등교육과와 협의 인사규정에 명문화 추진 ○ 기능직 코치에 대한 인사 체육보건교육과에서 주관
◇ 초등 체육의 활성화 ○ 체육교과 전담교사 100% 확충방안 모색 ○ 초*중교사 연수회 개최 ○ 육성종목 담당교사 학교장 내신제 운영 ○ 초등교사 체육교과 직무연수 운영
◇ 강력한 지원체제 확립 ○ 지역 교육장 및 학교장의 관심 및 지원체제 강화 ○ 우수학교 표창, 학교장, 교감 인사시 소년체전 성적 반영 ○ 각종 단체와 기관의 훈련 선수 격려 및 훈련비 지원 요청 ○ 각종 단체와 기관의 훈련선수 격려 및 훈련비 지원 요청 ○ 체육회의 훈련비 지원 확대 (현재 년 10억 지원) ※ 타도 예) 충남 : 체육회에서 매년 15억씩 육성비 지원
◇ 전북청소년스포츠클럽 운영의 활성화 ○ 예산 확보 ○ 연차적으로 운영종목 및 지역의 확대 요청 ○ 청소년스포츠클럽 운영을 통한 우수선수 확보 방안마련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