종목별 메달획득 현황
▣ 우수선수
○ 배 구 최우수선수상 수상 안 수 정 (근영여중 3년)
○ 탁 구 최우수선수상 수상 남 소 미 (대 야 초 등 6년)
○ 사 격 최우수선수상 수상 김 미 선 (전주중앙중 3년)
○ 2 관왕 : 사격 공기소총(단체,개인) 김 미 선 (전주중앙중 3년)
○ 2 관왕 : 역도 62㎏급(용상,합계) 서 준 호 (순창중학교 3년)
▣ 금번대회 문제점
- 초등학교 육성팀 저변 부족으로 팀 육성 미흡
- 개인종목의 훈련방법 미흡으로 경기력 저하
- 팀 육성교의 선수육성 의지 결여로 팀 육성 체계 빈곤
- 기본종목의 부진
- 전북 주력종목의 빈곤
▣ 차기대회를 대비한 대책
- 기본종목(육상, 수영)의 집중 육성 및 특별 체계적 관리 |
|
- 다수 메달 획득 가능 종목 (체조, 역도, 양궁, 롤러)의
중점종목으로 선정 집중 육성
- 개인종목의 훈련 방법 개선 (경기단체별 훈련)
- 지도자 사기우대책 강구
- 체육중학교 신설
▣ 전력이 우수한 시도 분석
⊙ 각 시.도별 금메달 분포도 (다수메달 종목 위주)
⊙ 메달 획득으로 본 분석
- 시·도별 주력 종목 육성으로 전체 메달수의 50%정도를
획득하였음
- 우리도 주력종목 3∼4개 종목을 선택하여 집중적인
육성이 필요함 (순회코치, 훈련지원, 시설지원)
금 메 달
|